[파이콘 한국 2024 미리보기] 10번째 파이콘은 어떤 모습일까?

  • 관리자 신현승
  • 카테고리: 개발이슈
  • 조회수: 595
  • 작성일:

파이콘 한국 2024 발표자 4인 인터뷰

파이콘 한국은 2014년에 시작된 비영리 파이썬 콘퍼런스로, 파이썬 사용자들이 모여 경험을 공유하는 행사입니다. 커뮤니티의 성장을 위해 운영되며, 약 1,000명의 파이썬 활용자들이 한자리에 모입니다.

이번 파이콘은 10월 26일과 27일에 열리며, 발표자들을 통해 파이썬의 활용 사례를 미리 살펴볼 수 있습니다.

<출처: 파이콘 한국 2024 홈페이지>

파이콘 한국 2024 메인 세션 미리보기 ‘Day 1’

한바름: FastAPI with Dependency Injector

10월 26일(토) / 수원 컨벤션센터, 오후 5시 30분~6시 10분

안녕하세요, 발표자님!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파이썬을 주 언어로 쓰는 한바름입니다. 현재 개인 업무 관리 도구 ‘SLASH’를 개발하며, FastAPI 사용자 모임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Q. 어떤 주제를 발표하나요?
“FastAPI with Dependency Injector”라는 주제로 의존성 주입의 필요성과 FastAPI와의 관계를 설명할 예정입니다.

Q. 누가 이 발표를 들으면 좋을까요?
의존성 주입의 필요성을 고민하는 분들과 FastAPI를 사용하고자 하는 분들에게 유익할 것입니다.

Q. 각오 부탁드립니다!
참석자들이 좋은 세션이었다고 느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파이콘 한국 2024 메인 세션 미리보기 ‘Day 2’

최경재: 브라우저 위의 파이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

10월 27일(일) / 수원 컨벤션센터, 오후 2시 50분~3시 20분

안녕하세요, 발표자님!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MOLOCO의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최경재입니다. 브라우저 위에서 실행 가능한 파이썬 프레임워크 ‘Pyodide’ 개발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Q. 어떤 주제를 발표하나요?
“브라우저 위의 파이썬의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주제로 브라우저에서 파이썬이 실행되는 과정과 가능성을 탐구합니다.

Q. 누가 이 발표를 들으면 좋을까요?
파이썬의 새로운 사용 방법에 관심 있는 분과 관련 지식이 없어도 재미있게 들으실 수 있습니다.

Q. 각오 부탁드립니다!
이번 행사에 참가하게 되어 매우 기쁘며 유익한 경험이 되기를 바랍니다.

 

강민철: 함수 추적 도구를 만들며 알아보는 파이썬 고성능 event-monitoring

10월 27일(일) / 수원 컨벤션센터, 오후 2시 50분~3시 20분

안녕하세요, 발표자님!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강민철입니다. 프로그래밍 강의와 개발을 해왔으며, 현재는 시스템 성능 추적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Q. 어떤 주제를 발표하나요?
“함수 추적 도구를 만들며 알아보는 파이썬 고성능 event-monitoring”에 대해 설명하며, 최신 Python 기능에 대해 다룰 예정입니다.

Q. 누가 이 발표를 들으면 좋을까요?
최신 속도 추적 기술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Q. 각오 부탁드립니다!
오프라인 발표가 기대되며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김강민: 파이썬으로 PDF 쪼개기(Cracking PDF with Python)

10월 27일(일) / 수원 컨벤션센터, 오후 3시 30분~4시

안녕하세요, 발표자님!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김강민입니다. 데이터 저널리스트로 활동 중이며, 파이썬을 통해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을 합니다.

Q. 어떤 주제를 발표하나요?
“파이썬으로 PDF 쪼개기”를 주제로, 지저분한 자료를 파이썬으로 정리하는 과정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Q. 누가 이 발표를 들으면 좋을까요?
개발 실무에 도움이 될 '스낵 콘텐츠' 형식의 발표이며, 사회 공익에 기여하고 싶은 분들을 환영합니다.

Q. 각오 부탁드립니다!
파이콘 한국의 다양성을 느끼며 발표하는 것이 기대됩니다.


파이콘 한국 2024는 10월 26~27일 수원 컨벤션센터에서 열립니다. 현재 티켓 구매와 재정 지원 신청이 가능하니 관심 있는 분들은 꼭 확인해 보세요!

 


해당 기사는 GPT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입니다.

원문보기


코멘트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