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대학생들의 해커톤: GDGoC 연합 해커톤 ‘백야’

  • 관리자 신현승
  • 카테고리: 개발이슈
  • 조회수: 223
  • 작성일:

여러분은 해커톤에 참가해 본 적 있나요?

해커톤은 팀을 이루어 짧은 시간 안에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도전적인 시간입니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참여자들이 모여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나누고, 서로 친해지며 협력하게 됩니다.

지난 1월 18일부터 19일까지 구글 대학생 개발자 커뮤니티 GDGoC에 속한 20개 대학이 대규모 해커톤 “백야”를 개최했습니다. 156명의 학생이 참여하여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개발했습니다.

<출처: GDGoC>

Introduce GDGoC, ‘백야’

GDGoC는 Google Developers의 후원을 받는 대학교 기반 커뮤니티 그룹으로, 전 세계에 1863개 클럽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한국에는 37개 클럽이 있습니다.

<출처: GDGoC>

해커톤 ‘백야’의 주제: 고령화, 수도권 집중, 취업난

GDGoC 커뮤니티는 기술을 활용하여 UN의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하는 활동을 해왔고, 이번 해커톤의 주제도 ‘대한민국 내 문제 해결’로 정해졌습니다.

<출처: GDGoC>

해커톤 진행 현장: 156명의 참가자, 25개 팀

156명의 학생 개발자가 소프트웨어 개발, 디자인, 기획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여 25개 팀을 구성했습니다.

<출처: GDGoC>

아이스 브레이킹 세션 이후, 참가자들은 사회적 이슈를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트를 개발하기 시작했습니다.

<출처: GDGoC>

대상 수상작: 돌봄지기(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출처: GDGoC>

‘돌봄지기’ 팀은 의료 접근성이 낮은 지역에서 의료 관리를 지원하는 서비스로 대상을 차지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고령화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출처: GDGoC>

요즘 대학생은 무엇을 개발할까?

이번 해커톤에서 개발자들은 주로 백엔드 분야에 집중하였고, AI 기술을 많은 프로젝트에서 활용했습니다.

참가자 주요 기술 스택

  • 백엔드 개발자: Spring Boot(61.29%), Django(11.29%), Express(9.68%)
  • 프론트엔드 개발자: React(78.95%)
  • AI/ML 참가자: TensorFlow, PyTorch 등
  • 디자인 및 기획자: Figma(83.33%)

대세는 역시, AI

많은 팀이 AI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며, 실제 서비스에 접목하려는 경향을 보였습니다.

해커톤 오거나이저 인터뷰

이번 해커톤은 약 두 달간 준비되었으며, 다양한 역할을 나누어 운영했습니다. 각 담당자들이 준비 과정과 느낀 점을 공유합니다.

기획·재정: 김규회

행사 예산 조정이 가장 어려운 일이었고, 행사당일 노쇼 문제로 인원 재배치가 필요했습니다.

DevRel: 이우민

행사 운영에서 소통의 중요성을 느꼈고, 사전 가이드라인 작성의 필요성을 깨달았습니다.

디자인: 노권후

디자인을 단순한 요소가 아닌 참가자의 행동을 유도하는 도구로 활용하는 경험이었습니다.

대외협력: 권영후

많은 기업과 개발자들이 후원과 멘토링에 참여하여 의미 있는 행사를 만들었습니다.

총괄: 유광무

각 오거나이저들의 책임감 덕분에 큰 문제 없이 행사를 진행할 수 있었습니다. 내년 GDGoC 해커톤에도 기대해 주세요!

운영진의 KPT 회고

운영진은 이번 행사를 돌아보며 KPT 회고를 진행했습니다.

Keep (잘한 점)
  1. 참가자들의 피드백을 받으며 게임 진행으로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2. 정기 회의를 통해 체계적인 운영을 수행했다.
  3. 운영진들이 책임감 있게 참여하였다.
Problem (아쉬웠던 점)
  1. 노쇼 문제로 재배치가 필요했다.
  2. 아이스 브레이킹 시간이 길어 개발 시간이 부족했다는 피드백을 받았다.
Try (다음에 시도할 것)
  1. 주요 문서의 최신화에 신경 쓴다.
  2. 프론트엔드 지원자를 모집하여 개발자 비율을 조정한다.
<출처: GDGoC>

마치며

GDGoC 해커톤 "백야"는 학생 개발자들이 모여 코딩하고, 토론하며 소중한 경험을 쌓은 시간이었습니다. 운영진들도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며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 GDGoC에서는 또 어떤 도전이 펼쳐질지 기대해 주세요!

글: GDGoC 권영후


해당 기사는 GPT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입니다.

원문보기


코멘트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