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 BA, MA 직무 이해하기: 같은 데이터, 다른 관점

  • 관리자 신현승
  • 카테고리: 개발이슈
  • 조회수: 47
  • 작성일:

데이터 분석 분야에서 경력을 쌓고자 하는 사람들은 DA(데이터 분석가), BA(비즈니스 애널리스트), MA(마케팅 애널리스트)의 차이점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들은 모두 데이터를 다루지만, 각자의 도메인과 목표가 다릅니다.

 

대기업에서는 역할이 명확하지만, 스타트업에서는 구분이 뚜렷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채용 공고의 내용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같은 데이터, 다른 관점

각 직무별 특징을 살펴보겠습니다.

 

DA(Data Analyst, 데이터 분석가)

제품 중심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사용자 행동을 분석하고 A/B 테스트를 통해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BA(Business Analyst, 비즈니스 애널리스트)

비즈니스 전략 수립을 위한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며, KPI를 설정하고 사업 방향성을 제시합니다.

 

MA(Marketing Analyst, 마케팅 애널리스트)

마케팅 성과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전략 수립을 위해 인사이트를 도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각각의 분석 직무는 도메인에 따라 다르게 운영됩니다.

 

채용 공고 속 DA, BA, MA의 차이 비교하기

실제 채용 공고에서 각 직무의 특성이 드러납니다.

 

예시 1: DA 채용 공고

<출처: 바비톡 채용 사이트>

제품 관련 키워드인 'Product Owner', 'UX 플로우' 등을 통해 DA 직무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예시 2: MA 채용 공고

<출처: 바비톡 채용 사이트>

'마케팅' 키워드로 MA 포지션을 쉽게 식별할 수 있습니다.

 

예시 3: BA 채용 공고

<출처: 쏘카 채용 사이트>

'비즈니스 모델', '손익 관리' 등의 키워드로 BA 포지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무 예시로 DA, BA, MA 차이 비교하기

각 직무가 동일한 문제에 어떻게 접근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DA의 접근법

DA는 UI/UX 관점에서 데이터를 분석하여 거래액 감소 원인을 찾습니다.

 

BA의 접근법

BA는 비즈니스 전반의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략적 의사결정을 지원합니다.

 

MA의 접근법

MA는 마케팅 활동의 효과를 분석하여 문제를 파악합니다.

 

모든 기업에 뚜렷한 구분이 있는 건 아닙니다

예상과 다르게 기업 내 정확한 역할 구분이 없을 수 있으며, 한 사람이 여러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습니다.

 

지원자는 어떻게 직무를 선택할 수 있을까?

자신에게 적합한 직무를 선택하기 위해 아래 질문을 통해 스스로를 점검하세요.

 

1. 내가 분석하고 싶은 주요 대상이 무엇인가?

  • 제품: DA
  • 비즈니스 전략: BA
  • 마케팅: MA

 

2. 요구되는 기술 스택은 어떤가?

  • SQL: 필수
  • 파이썬 및 데이터 파이프라인: DA
  • 대시보드 설계 도구: BA
  • 마케팅 성과 도구: MA

 

3. 주요 KPI가 어떤가?

  • 퍼널 기반 지표: DA
  • 재무적 성과 지표: BA
  • 마케팅 효율 지표: MA

 

마치며: 직무보다 중요한 것은 ‘도메인 이해’

실제 직무명보다 업무 내용과 도메인 이해가 더욱 중요합니다. 따라서, 채용 공고의 내용을 잘 살펴보고, 현직자와의 네트워킹을 통해 정보를 얻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이 데이터 분석에 관심 있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해당 기사는 GPT를 이용하여 요약한 내용입니다.

원문보기


코멘트 (0)